< Au Dela Des Rues - Boyane dans la Galerie >
2012년부터 한국에 거주해 온 프랑스 파리 출신 아티스트 보얀(Boyane)의 작업은
그래피티, 만화, 힙합, 일러스트레이션, 패션 등 스트릿 문화의 이미지 언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그 안에 머물지 않는다. 거리와 회화, 비공식과 제도, 단순한 형상과 복잡한 정서 사이를
끊임없이 넘나들며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해왔다.
[Au Dela Des Rues - Boyane dans la Galerie]
(Beyond the Streets – Boyane in the Gallery)는
거리의 감각과 회화의 정서 사이를 유연하게 가로지르는 표현 방식을 조명하는 전시다.
다만 스트릿 아트의 제도권 진입만을 말하려는 전시는 아니다.
오히려 작가의 회화적 행위에서 느껴지는 ‘민화적 정서’에 더 깊이 주목한다.
보얀의 작업은 장르보다는 감각에, 정체성보다는 태도에 가깝다.
즉흥성과 반복, 낙서 같은 선, 캐릭터 중심의 구성, 감정이 스며든 색채 리듬은
공식 언어보다는 경험과 감각의 언어에 가까운 조형 방식을 드러낸다.
찬찬히 들여다보면, 그 안에서 한국 민화의 정서와 느슨한 공명이 일어난다.
민화는 장르가 아니라 하나의 태도였다.
공식의 손이 아닌 생활자의 손, 이론이 아닌 직관,
제도가 아닌 감정의 리듬에서 비롯된 예술이었다.
오늘날 보얀이 거리 문화의 손맛과 리듬, 캐릭터와 선의 구조를
자유롭게 엮어내며 회화로 펼쳐내는 방식은
현대적 민화의 또 다른 형태로 읽힐 수 있다.
민화를 의식하고 그리는 것은 아니지만,
직관과 반복, 감정의 조형으로 축적된 표현 감각은
과거 민화가 지녔던 이미지 생산의 에너지와
오늘의 거리 문화가 만나는 접점을 형성한다.
[Au Dela Des Rues]는 단지 경계를 넘는 행위가 아니라,
경계들을 뒤섞고 흔들며 다시 손으로 정리해가는 과정의 기록이다.
그 과정 속에서 보얀은 자신만의 세계를 그리고 있다.
2025년
류승룡 큐레이터
Boyane, a French artist based in Seoul since 2012, has developed a distinctive visual
language rooted in the culture of the street.
Drawing from graffiti, hip-hop, comics, illustration, and fashion,
his work resists categorization—it moves between the raw energy of the street and
the structured space of the gallery, between visual instinct and emotional depth,
between informal gesture and formal composition.
[Au Dela Des Rues - Boyane dans la Galerie] (Beyond the Streets – Boyane in the Gallery)
is not simply an exhibition about street art entering the formal space.
Rather, it explores how Boyane fluidly navigates the boundaries between street culture
and contemporary painting, and how his way of making images echoes something deeper—
what we might call a minhwa (Korean folk art) -like sensibility.
His paintings are made up of improvised gestures, repeated symbols, animated characters,
and a rhythm of color that feels more emotional than intellectual.
This is a visual language shaped not by formal systems, but by accumulated experience
and embodied rhythm.
When we look closely, we begin to sense a quiet resonance with Korean minhwa, or
folk painting. Not in theme or tradition, but in spirit. Minhwa was never about stylistic
perfection; it was an art of instinct and iteration, made by everyday people rather
than professionals— guided by feeling, shaped by repetition, and driven by the
need to express.
Boyane does not reference minhwa directly.
But the way he gathers fragments of street culture—the rawness of graffiti,
the beat of hip-hop, the narrative structure of comics and illustration, the immediacy
of visual culture in fashion—and reconfigures them in painting, might be seen as a
contemporary parallel to the ethos of minhwa.
His work is not about crossing boundaries, but mixing them.
It’s about blurring lines between inside and outside, personal and collective, formal and
informal, until what remains is not a category, but a world— a world drawn, re-drawn,
and constantly reshaped by the hand.
This is the world that Boyane offers us in this exhibition.
Not a translation of the street, but a transformation beyond it.
2025
Seungryong Riew,
Curator